2025-07-08-/-07-13
XXPRESS
우리는 오랫동안 글자에 대해 생각해왔습니다. 글자의 형태, 쓰임,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시각 언어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고민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보고자 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그러한 과정에서 나온 시각적 실험들의 기록이자, 새로운 제안이기도 합니다. 글자는 읽히기 위한 도구일 뿐일까요? 우리는 글자를 단순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 아닌, 그래픽 요소로 바라보고, 그 자체로 조형성과 감각을 지닌 대상으로 다뤄봅니다. 때로는 글자의 의미를 흐리고, 때로는 그것이 가진 경계—‘글자’와‘이미지’ 사이의 구분—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덕화맨숀을 통해 글자가 매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Stray letters is an experimental space about letters, created by Choi Dongjun and Deokhwa Mansion. Strictly speaking, it is an exhibition, but its form is light and fluid like a pop-up, while also questioning the very framework of what an exhibition can be.
We have long been thinking about letters—their shapes, their uses, and the ways they function as a visual language. This exhibition is both a record of those explorations and a proposal for new possibilities. Are letters simply tools for reading? We look at them not just as vehicles of information, but as graphic elements—objects with their own form and sensibility. At times, we blur their meanings; at other times, we deliberately soften the boundary between “letter” and “image.” Through Deokhwa Mansion, we also reflect on how letters shift and transform across different media.
글자의 굵기는 일반적으로 Hairline에서 Black까지의 단계로 분류된다. 그러나 획이 점점 가늘어지면 결국 형태를 잃고 점만이 남게 되며, 더 나아가면 문자를 구성하는 ‘움직임’만이 기록된다. 반대로 굵기가 점점 더해지면 결국 하나의 검은 덩어리, 즉불가해한 형상이 되어버린다. 이 작업은 문자 구조의 극한 상태를 탐색하는 것으로, 해체와 재구성을 위한 전 단계이며, 문자와 의미 사이의 연결고리를 재조정하는 시도다.
Letter weights are usually classified from Hairline to Black. Yet as strokes get thinner, they dissolve into dots, and further still, into pure traces of movement. When thickened to the extreme, they collapse into unreadable black masses. This work explores these outer edges of letter structure—a stage of breaking down and reassembling,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can be reset.
Poster, Digital print, 2025
Series 1
Poster, Digital print, 2025
Series 2
Poster, Digital print, 2025
Series 3
"글자는 반드시 읽혀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작업이다. 이 시리즈는 모든 작품이 양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면과 뒷면에 동일한 글자를 배치했다. 전면과 후면의 반사적 관계 속에서, 문자의 의미와 구조는 서로 다른 층위로 확장된다.
This series begins with the question: “Must letters always be read?” Each work is double-sided, presenting the same character on the front and back. In this mirrored relationship,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letters unfold into multiple layers.
폰트의 굵기를 분류할 때 흔히 Light, Regular, Medium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하지만 ‘weight’라는 용어가 문자에 실제 물리적 무게로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모조지 B2 사이즈, 150g/㎡ 두께의 종이 한 장의 무게는 55.7g이며, 이 위에 인쇄된 ‘믱’ 글자의 검은 면적은 약 24.2555g이다. 이 수치는 디지털 폰트의 무게 개념과는 다른 방식으로, 문자의 물질성과 시각성을 함께 사유하게 만든다. 결국 이 글자의 진짜 ‘weight’는 24.2555g일 수 있다.
Font weights are usually described with terms like Light, Regular, or Medium. But what if “weight” meant actual physical weight? A B2 sheet of paper (150g/㎡) weighs 55.7g. On it, the black area of the printed Hangul character 믱 weighs about 24.2555g. Unlike the digital notion of weight in type design, this number brings us to think of letters as material as well as visual. In this sense, the true weight of this letter might be exactly 24.2555g.
‘획’이라는 글자를 구성하는 초성(ㅎ), 중성(ㅚ), 종성(ㄱ)의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공간에 들어간 획의 수를 계량화했다. 수치화된 문자 구조는 언뜻 분수처럼 보이기도 하며, 이는 문자가 언어 단위이자 동시에 추상적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환된 글자는 하나의 도상적 상징에서 연산 가능한기호로 이행한다.
The Korean character 획 (stroke) is divided into its phonetic parts—initial (ㅎ), medial (ㅚ), and final (ㄱ). Each part is given a separate spac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side is quantified. The result resembles a fraction, hinting that letters can be both linguistic units and abstract systems. In this process, a letter shifts from an iconic symbol to a calculable sign.
‘왈!’은 개 짖는 소리를 시각화한 글자다. 한 글자로 표기되는 이 소리는 실제로 다양한 주파수와 강도의 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동물의 울음소리, 기계음처럼 비정형적이고 연속적인 소리를 정제된 문자 체계로 포착하는데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글의 격자 구조를 확장하고 해체함으로써, 기존의 음운 체계를 넘어서보다 다양한 음향적 질감을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Wal! is a Hangul character created to visualize the sound of a dog’s bark. Though written as a single syllable, the sound actually contains multipl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Non-linguistic sounds—animal cries, machine noise—resist capture by the neat system of writing. By expanding and breaking apart Hangul’s grid, this work looks for ways to hold richer acoustic textures beyond the limits of phonetic notation.
Installed work, Moving, 2025
한글의 재밌는 특징 중 하나가 ‘네’라는 말의 여러 표현법이 있다는 것이다. ‘네’는 조금 싸가지없어 보이기도하고, ‘넹’은 귀여운듯 예의있고, ‘넵’은 나의 의지를 보여준다.(사실은 그렇지않지만) 전달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넹’과 ‘넵’의 중간은 없을까?
One playful feature of Hangul is the many ways to say “네” (Nae, It means yes). 네 can sound blunt, 넹(Naeng) feels polite and cute, and 넵(Nap) seems determined (though not always sincerely). The gap between sender and receiver shapes these subtle differences. But is there something in between 넹(Naeng) and 넵(Nap)?
‘Glitched Text’는 의도된 오류로 생성된 문자 조형이다. 기존의 글자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를 webp 포맷으로저장하고, 파일 내부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오류를 유도한다. 한 글자당 3,000개에서 많게는50,000개까지의 변형된 이미지가 생성되며, 이로부터 새로운 조형 구조가 나타난다. 글자라는 체계는 안정된 상징이지만, 이 작업은 그 체계를 조작함으로써 문자의 가능성과 범주를 재고하게 만든다. 이 실험은 ‘문자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이다.
Glitched Text is a series of letterforms created through intentional error. Original letters are turned into images, saved in the webp format, and then altered by manually manipulating their binary data. Each letter can generate from 3,000 up to 50,000 variations, revealing new visual structures. Letters are usually stable symbols, but here, that system is disrupted to reconsider their range and possibilities. This experiment ultimately circles back to a basic question: what is a letter?
Interactive work, Monitor, Printer, Web, 2025